퀵메뉴

 

 

 

 

 

 

 

 

트렌드뉴스

"명치를 제대로 맞았다"…카불 테러에 탄핵까지 나온 바이든

  • >
  • 포트폴리오 >
  • 트렌드뉴스

본문

"명치를 제대로 맞았다."

지난 26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카불 공항에서 일어난 이슬람국가 호라산(IS-K) 의 자살 폭탄테러를 두고 미국 백악관 관계자가 한 말이다.
이미 테러에 대한 첩보를 입수한 백악관은 이를 막기 위한 대책 회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몇 시간 뒤 테러 소식이 전해졌고, TV를 통해 처참한 광경을 지켜보던 관계자가 이같이 내뱉었다고 CNN이 28일 보도했다.

누구보다 타격이 컸던 것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다.

혼란스런 철수 작전으로 비판 목소리가 커지던 지난 18일, 바이든 대통령은 그래도 사망자가 없다는 점을 내세웠다.

ABC뉴스 조지 스테파노플러스 앵커와 인터뷰에서 "지금 아무도 죽지 않았다. 내가 틀렸다면 신이 용서해주길 바라겠지만 지금 아무도 죽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불과 일주일 정도 후 13명의 미군을 포함한 170여 명의 사망자를 낸 최악의 테러가 발생했다. 아프간 철군은 판단 착오라는 비판에 대한 마지막 변명도 사라진 셈이다.

폭탄테러로 다시 블랙홀 된 중동
외교안보의 무게중심을 중동에서 빼내오려던 계획도 차질을 빚게 됐다.

미 중앙정보부(CIA)가 아프간 전쟁이 끝나면 중국이나 러시아 등 강대국에 대항하는 전통적인 정보기관 업무에 치중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번 테러가 CIA를 블랙홀처럼 다시 아프간에 끌어들이게 됐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군대와 대사관이 철수한 아프간에서 IS-K에 대한 드론 보복공격 등을 하려면 CIA의 역할이 더 중요해졌다는 이야기다.

또 탈레반은 카불 진격 과정에서 교도소들을 습격해 죄수 수천 명을 풀어줬다. 이 과정에서 IS나 알카에다 등 테러 세력도 대거 풀려난 것으로 전해진다.
아프간이 다시 테러 조직의 허브가 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미국은 중동에서 한동안 눈을 뗄 수 없게 됐다.

탈레반 협력에 대해선 민주당도 비판

탈레반과 협력 관계를 맺은 것 역시 약점으로 잡히게 됐다는 분석이다.

20년 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테러와의 전쟁'을 선포하며 탈레반을 "살인자에 대한 방조자"로 규정했다.
그런 탈레반이 지금 카불에서 철수하는 미국에 협조해 공항 주변 경계와 검문을 맡고 있다.

당초 바이든 정부는 아프간 정부군에 이를 맡길 계획이었지만,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이 아프간을 탈출하며 탈레반에 손을 벌릴 수밖에 없게 됐다.

탈레반은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기 위해 미국 등이 아프간 주재 대사관을 유지하기 바라는 입장이다.
지난 23일 윌리엄 번스 CIA 국장이 탈레반 지도부를 만났을 때도 이런 폭넓은 협력 관계를 논의한 것으로 알려진다.

NYT는 탈레반이 IS-K나 알카에다의 테러를 막는 데 협조한다면 미국 정부가 계속 협력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그러나 이에 대해선 친정인 민주당에서도 비판이 나온다.
미군 2400여 명의 희생을 내며 총구를 겨눴던 적과 갑자기 손을 잡을 수 있겠냐는 것이다.

밥 메넨데스 상원 외교위원장(민주)은 "미국의 안보와 관련해 탈레반을 신뢰할 수 없다는 점만큼은 분명하다"고 워싱턴포스트 등에 밝혔다.
이번 테러 역시 공항 주변 보안에 대해 탈레반을 너무 믿었기 때문에 벌어졌다고 지적했다.

공화당에선 하야·탄핵 이야기까지
한편 야당인 공화당은 전방위적으로 바이든 대통령을 압박하고 있다.

케빈 매카시 하원 원내대표(공화)는 모든 미국인이 아프간을 떠날 때까지 미군 철수를 금지하는 법안을 의회가 통과시켜야 한다고 촉구했다. 오는 31일로 정한 철수 시한을 고집하지 말라는 이야기다.

하야나 탄핵 등의 이야기까지 나온다.
마샤 블랙번 상원 의원(공화)은 "실패한 계획 때문에 테러 공격을 허용한 이들부터 책임을 질 때가 왔다"며 바이든 대통령과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 국무·국방 장관이 사퇴하거나 탄핵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http://n.news.naver.com/article/025/000313047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