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메뉴

 

 

 

 

 

 

 

 

트렌드뉴스

고령층 확진 132% 급증… 예측 빗나가 ‘병상대란’ 초래

  • >
  • 포트폴리오 >
  • 트렌드뉴스

본문

http://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2&oid=022&aid=0003641305


단계적 일상회복(위드 코로나) 전환 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증가는 예상됐던 일이었다. 의료체계 내에서 감당할 수준이면 된다는 게 정부 설명이었다. 그러나 일상회복 후 4주차에 들어서면서 중환자 병상이 모자라 허덕이고, 인명 피해도 커지면서 단계적 일상회복 조치가 갈림길에 서게됐다. 이 정도 피해를 감수하고 일부 방역만 강화해 버틸 것인지, 수도권만이라도 비상계획(서킷 브레이커)을 발동해 더 큰 위험을 차단할 것인지를 놓고 정부가 고민에 빠졌다.


24일 의료계 등에 따르면 일상회복 후 불안한 상황이 닥친 것은 기본적으로는 방역 완화 후 모임, 여행 등 이동이 많아지면서 확진자 발생 규모 자체가 커졌기 때문이다. 휴대전화 이동량을 보면 단계적 일상회복 3주차인 15∼21일 주간 이동량은 2억4871만건으로, 직전 주보다 1.9% 증가했다. 이 수치는 코로나19 발생 이전(2019년 11월18∼24일 2억5797만건)에 근접한 수준이다. 천은미 이화여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4차 대유행이 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단계적 일상회복 조치를 너무 강력하게 시행했다”고 비판했다.


중환자 발생 예측이 엇나가면서 중환자 병상 부족 사태가 초래됐다. 정부는 지난 5일과 12일 수도권에 중환자·준중환자 병상 확보에 이어 이날 비수도권에 준중환자 병상 확보까지 이달 들어서만 세 번이나 행정명령을 내리며 긴박하게 움직이고 있다. 하지만 병실이 준비되기까지는 최소 3∼4주가 걸리는 점을 고려하면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일상회복을 시작했고, 대응도 늦었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