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메뉴

 

 

 

 

 

 

 

 

트렌드뉴스

원전이 가장 효율적이라는 오세훈, 서울에 짓기는 싫은 서울시

  • >
  • 포트폴리오 >
  • 트렌드뉴스

본문

지난해 서울시 전력 자립률은 11%를 갓 넘는다. 그나마 2019년 11월부터 운영에 들어간 800MW 규모 서울화력발전소(마포 당인리발전소) 덕이 크다.


비서울지역에서 석탄발전·원자력발전으로 생산한 전기를 송전탑·송전선을 통해 공급받지 않으면 인구 천만명 대도시는 단 1초도 굴러가지 않는다.


석탄화력발전소가 집중된 충남은 서울과 수도권에 전력을 대느라 미세먼지와 송전시설로 인한 고통을 감내하고 있다.


서울에는 가스발전소는 물론 친원전 진영에서 ‘꿈의 원전’이라고 주장하는 소형모듈원전(SMR) 하나 들어설 가능성이 없다.


서울시가 전력 자립률을 높이는 방법은 두 가지 뿐이다. 에너지 소비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 생산을 늘리는 것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언론 인터뷰에서 “원전만큼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전력생산 방법은 없다. 태양광에 과도하게 집중된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개편하겠다”고 밝혔다. 전임 박원순 시장이 ‘대도시로서 책임을 다하겠다’며 추진했던 ‘원전 하나 줄이기’ 사업을 사실상 백지화하겠다는 취지다.


서울환경운동연합은 이날 논평을 통해 “2020년 기준 전력 자립률 약 11%를 기록하는 서울시는 대표적인 에너지 소비지역이다. 오 시장은 서울시 한복판에 원자력발전소라도 건설할 셈이냐”고 비판했다. 이우리 서울환경운동연합 기후에너지팀장은 “서울에서 원자력발전을 할 게 아닌 이상 미니 태양광을 포함해 가능한 대안들을 다 시도해야 전력 자립률을 의미있는 수치까지 끌어올릴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대해 서울시 관계자는 “(미니 태양광 사업이) 투자 대비 에너지 효율이 떨어진 것은 사실이다. 다만 태양광 사업을 하지 않겠다는 뜻이 아니다. 기술 혁신을 통해 고효율의 태양광 사업을 추진하고 지열·하천수열 등으로 신재생에너지원을 다양화하겠다는 의미”라고 밝혔다. 서울시 전력 자립도를 높일 방안에 대해서는 “국가 차원에서 수립할 에너지 정책이 있고 지자체 차원에서 할 수 있는 정책이 있다. 지자체가 할 수 있는 부분은 할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서울시에 원전이나 화력발전소를 짓는다는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다.



http://news.v.daum.net/v/202107091936038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