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메뉴

 

 

 

 

 

 

 

 

트렌드뉴스

"안녕하세요 청각 장애인 기사님이 운행하는 택시입니다."

  • >
  • 포트폴리오 >
  • 트렌드뉴스

본문

"안녕하세요 청각 장애인 기사님이 운행하는 택시입니다."

안내 음성이 나오면, 뒷자리에 탑승한 승객이 태블릿에 목적지를 입력한다. 추가적인 소통이 필요하면 '기사님께 말하기'를 누르면 된다. 키보드나, 음성, 손글씨 인식이 모두 가능하다. 소셜벤처 기업 코액터스가 운영하는 모빌리티 서비스 '고요한M'의 이용 모습이다.

안내 음성에서 확인할 수 있듯, 고요한M의 드라이버는 모두 청각장애인이다. 청각 장애인에게는 일자리 창출의 기회를, 바쁜 일상에 지쳤을 이용객에게는 편안한 휴식을 제공하는 윈-윈을 노렸다.

코액터스는 이같은 서비스를 지난 2018년 6월 '고요한택시'로 처음 선보였다. 지난해 8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고요한 모빌리티' 실증특례를 받은 뒤에는 이를 확장한 고요한M을 출시했다. 고요한택시의 기사들이 법인택시에 소속돼있었다면 이제는 코액터스가 고요한M을 통해 기사들을 직접 고용하고 차량을 관리한다.

지난 3년간 코액터스가 고요한 택시, 고요한M으로 배출한 청각 장애인 기사는 총 87명(2021년 7월 기준)이다. 운행 택시 대수 역시 2018년 10대에서 20대(2021년 7월 기준)로 늘었다. 기사 수입도 늘어 255만 원까지 올라왔다.

이같은 성장에는 SK텔레콤의 지원이 있었다는 평가다. SK텔레콤은 운행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고요한M에 청각 장애인 전용 ADAS(첨단 운전자 지원시스템)와 T케어 스마트워치 등을 지원했다.

앞으로 코액터스는 현재 20대 수준인 고요한M의 차량을 100대까지 늘리고, 기사 수도 증원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코액터스 송민표 대표는 "국내에서 장애인분들을 가장 많이 고용할 수 있는 회사가 되는 것이 첫 번째 목표고, 두 번째 목표는 그런 직영 운송 서비스를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규모로 운행하는 것"이고 말했다.

코액터스 송민표 대표, "장애인·비장애인 모두 이용하는 '포용적 모빌리티' 꿈꾼다"
다음은 코액터스 송민표 대표와 진행한 인터뷰. 최근 고요한M과 협업 1천 일을 맞이한 SK텔레콤 오픈콜라보담당 김춘수 PL도 함께 자리했다. 장소는 강남구 역삼동에 위치한 소셜벤처허브에서 진행됐다.

-고요한M 이용객의 특징이 궁금하다.
송민표 대표=현재 고요한M 앱 회원 가입자 수가 2만여 명인데 이 중 2030, MZ세대의 비율이 72%에 달한다. 남녀 성비를 보면 여성 성비가 73%를 차지한다. 기존 택시 호출 앱들의 경우 4050대 남성분들이 많은 거로 아는데 조금 다른 특징을 보인다.
=단골 고객들도 좀 있는 편이다. 한 달에 50~60만 원씩 쓰는 고객도 있다. 이용 패턴은 주로 강서구 쪽에서 예약 서비스를 통해 강남 쪽으로 출근하고, 이후 강남에서는 실시간 호출을 통해 퇴근하시는 방식이다. 아니면 자녀 학원 수업 통학을 위해 주기적으로 예약을 하는 경우도 있다.

-모빌리티 서비스에서도 이른바 '착한 소비'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용자에게는 가장 크게 다가오지 않을까 싶은데.
송민표 대표=회사 차원에서는 '착한 소비'보다는 '가치 소비'라는 말을 지향하고 있다. 가치 소비는 고요한M 서비스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특징이다. 장애인들이 비장애인과 가지고 있는 접점이 별로 없다. 승객 중에서도 다른 서비스를 이용할 때와는 달리 탑승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같은 고민부터, 무언가 도와야 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시는 분들도 있다.
=고요한M이 B2C 서비스이기도 한 만큼, 승객분들이 장애인에 대해 기존에 가지고 있던 이미지를 전환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나아가 "나는 이동을 하려고 했을 뿐인데, 장애인의 일자리 창출에 기여했다"는 가치도 가져갈 수 있을 것 같다. 실제로 이런 부분을 고객들이 굉장히 좋아한다.

http://naver.me/F5btycMe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