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메뉴

 

 

 

 

 

 

 

 

트렌드뉴스

난청 5년새 20% 증가 … 여성·아이 말 안들리면 위험신호

  • >
  • 포트폴리오 >
  • 트렌드뉴스

본문

고령화·이어폰 사용 늘어 … 자가테스트 2개 이상 땐 병원 검진
휴대용 음향기기 최대 음량 60% 이하로 하루 60분 사용 제한

고령화와 이어폰 사용 증가 등의 영향으로 난청 환자가 크게 늘고 있다. 난청이 악화될 경우 의사소통 장애는 물론, 치매 악화, 사회 부적응 등을 불러올 수 있다. 하지만 증상을 가볍게 여겨 관리를 제대로 하지 않거나 치료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지난 6일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 2016년 약 34만명이던 난청 환자는 2020년 약 41만명으로 20% 가량 증가했다. 이에 한국보건의료연구원(보의연)과 대한청각학회는 난청의 예방법과 자가진단법 등을 소개하는 `난청의 증상과 청력 보호를 위한 생활수칙' 정보집을 발간했다.

난청은 이상이 발생하는 부위에 따라 전음성 난청, 감각신경성 난청, 혼합성 난청으로 분류한다. 난청을 의심할 만한 증상이 있다면 이비인후과를 방문해 고막, 외이도(귀의 입구에서 고막에 이르는 관), 코, 목 등의 검사와 청력검사를 받아야 한다. 이비인후과를 방문하기 전 청력 이상 여부에 대해 알고 싶다면 난청 자가테스트가 도움이 된다.

일반적인 난청 의심 증상으로는 ◆소리가 작게 들리거나 멀리서 들림 ◆귀가 먹먹하거나 타인의 대화를 알아듣기가 어려움 ◆가족들에게 TV 볼륨이 너무 크다는 불평을 자주 들음 등이 있다. 여성이나 아이의 말을 이해하기 어려워지는 증상이 생겨도 난청을 의심해봐야 한다. 고주파의 소리를 듣기 어려워지는 노화성 난청일 가능성이 높다. 난청 자가진단 테스트13개의 문항 중 2개 이상의 항목에서 `예'라고 답했다면 병원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http://www.cctimes.kr/news/articleView.html?idxno=66853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