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선언후 이후
>
- 포트폴리오 >
- 트렌드뉴스
종전선언후 이후
>
- 포트폴리오 >
- 트렌드뉴스
본문
1.북한의 자원 1경2천조억중 경제적 타당성 있는 자원 남한에 안정적으로 공급 가능
지하자원 : 6000조 매장. 석유 : 6000조 정도 매장추정
2. 북한의 경제 특구에 산업공단 건설
낮은 인건비와 높은 노동력과 성실함으로 중국의 각 생산공장과
동남아의 각 생산공장이 거의 북한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음
북한 공장 관리는 남한사람이나 외국 기업체 간부들이. 노동력은 북한이 제공함 - 기존의 개성공단이 모델
3. 남북한 철도 연결로 유럽. 중앙아시아. 러시아를 철도로 이동. 수송가능
베링해협이 지하로 연결되면 알래스카. 캐나다. 미국도 철도 연결해서 이동 . 수송가능함
4. 남북러 송유관. 가스관 연결로 가스와 석유 안정적 공급 가능
가스 원재료 가격 30%이상 인하.->가스난방비 인하 . 전기세도 인하
석유도 가격 인하 => 각종 삭유화학제품 인하. 자동차 기름 가격 인하
5. 도표는 통일후 GDP성장률 전망이지만 경제자유 교류하고. 남한이 어느정도 북한 지원한다면
통일이 안되도 북한은 연 10~20GDP성장. 남한은 연 5~10GDP 고속성장
10~20년 안에 북한도 1인당 GDP가 만달러 도달 가능. 그 이후 통일 해도 됨
그럼 통일의 문제점을 최소화 시키면서 통일 가능
6. 경제 영토의 확장으로 나라의 국방력과 경제력이 전세계 2~5위안에 들어감
현재 국방력 6위 경제력 8~10위정도
남북한 경제 교류만 된다면 현재의 GDP에서 1.5배~3배사이 성장
경제력이 2배만 성장해도 독일을 추월함 4위
한민족의 경제 영토 : 총합이 3억5천
남한 5천만. 북한 3천만. 만주1억. 몽골: 3백 러시아: 1억 중앙아시아 탄의 나라 7천만
조중동이 그렇다네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