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메뉴

 

 

 

 

 

 

 

 

트렌드뉴스

“육아휴직 두려워”…출산 주저하는 신혼부부들[촉!]

  • >
  • 포트폴리오 >
  • 트렌드뉴스

본문

[헤럴드경제=김영철 기자] 서울 마포구 상암동에서 거주하는 이모(29·여) 씨는 중소기업에 다니고 있다. 자신과 역시 중소기업에 다니는 남편의 월급을 합치면 600만원 정도 된다는 것이 이씨의 설명이다. 지난해 결혼한 그는 물론 여느 부부처럼 아이를 갖고 싶어한다. 그러나 그는 “출산을 이유로 일을 쉬면 생활비가 반토막이 나는 현실이기에, 육아휴직을 내기가 현실적으로 힘들다”고 털어놨다.

육아휴직을 하기에도 회사 분위기가 부정적이어서 쉽지 않은 상황이라고도 이씨는 토로했다. 그는 “혼자 사무실에 있게 될 때가 있었다. 상사가 와서 임신을 언제 할 거냐고 솔직하게 물어봤다”며 “면접에서도 질문하지 않던 출산 계획을 입사 뒤에 물으니 회사에서 무언의 압박을 주는 듯 했다”고 말했다.

육아휴직을 쓰려면 이 회사에 평생 다닐 생각으로 신청해야 한다고도 이씨는 지적했다 . 그는 “경력을 쌓고 언젠가 지금 회사보다 더 좋은 곳으로 이직을 하고 싶다”면서도 “애엄마를 받아주는 회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자녀 계획을 세우는 것이 더 어렵게 느껴졌다”고 했다.

....

지방공무원으로 근무하며 지난해 결혼한 박모(32) 씨도 28일 헤럴드경제와 통화에서 “아이는 아내만이 아닌 남편과 함께 만들어지는 것인데, 임신·출산·육아까지 여성에게 전담시키는 것 같다. 육아휴직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이유”라고 털어놨다. 그러면서도 “공무원사회에서는 특히 승진이 중요하다. 육아휴직을 사용하면 승진 누락의 위험이 있어 신청을 하기가 여간 쉬운 게 아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최영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법적으로 육아휴직이 허용돼 있어도 내가 빠짐으로서 대체 인력을 구하기 어려워 동료에게 부담을 줄 수 있는 분위기, 육아휴직을 부정적으로 보는 분위기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육아휴직 자체가 고용보험의 일부로 진행되는 것”이라며 “직장 내에서 고용보험을 가입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는 등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이는 출산을 장려해도 해결되지 않을 수 있다 ”고 설명했다.

http://naver.me/FZJPlU4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