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메뉴

 

 

 

 

 

 

 

 

트렌드뉴스

수도권 지점 집중 폐쇄…지방도 가시권

  • >
  • 포트폴리오 >
  • 트렌드뉴스

본문

비대면 거래 증가로 폐쇄 가속화
대도시권 점포 감소가 전체 77%
중복 점포 정리…지방 예외 아냐
70대 이상의 고령층 의존도 높아


[서울=뉴시스] 박은비 기자 = 시중은행 영업점이 빠른 속도로 자취를 감추고 있다. 얼마 전까지 근처에 있었던 지점이 사라지고 인근 지점끼리 통·폐합되는 경우가 부지기수다. 현재까지는 문 닫는 영업점 중 80% 가량이 대도시권에 집중돼 있지만 매년 수백개씩 사라지는 상황을 볼 때 지방에 몇 안 되는 영업점 폐쇄도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기준 국내은행 영업점(점포)수는 6326개로 전년 말 대비 79개가 감소했다. 특히 대도시권 점포 감소폭이 전체 77.2%로 농어촌 등 취약지역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대도시권에서는 61개가 줄었고, 비대도시권은 18개가 줄었다.

지난해 폐쇄한 점포들을 살펴봐도 마찬가지다. 주로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이 다수고, 지방은 부산·대구·대전·울산 등 광역시 중심이다. 지난해를 보더라도 대도시권에서 251개 줄어들어 전체 82.6%를 차지했다. 비대도시권은 53개 감소했다. 지난해 말 기준 비대도시권 소재 점포 비중은 전체 23.7%인 1521개에 불과하다.

이는 은행들이 경쟁적으로 외형을 확장하던 과거에 인구수가 많은 대도시권을 중심으로 점포수를 늘려왔기 때문이다. 그 결과 중복 점포가 늘었는데 인터넷·모바일뱅킹 등 비대면 거래가 증가하면서 점포 효율이 떨어지자 정리 수순을 밟게 된 것으로 풀이된다. 그나마 농업인들을 위한 성격을 갖는 농협은행이 가장 많은 점포수와 고른 전국 분포도를 보이는 게 특징이다.

지금은 수도권이 중심이지만 은행들이 수익성 중심으로 점포 폐쇄 결정을 이어간다면 지방도 예외는 아닐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비대면 거래에 익숙하지 않은 노령층 등 금융소외계층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70대 이상 고령층의 현금 이용비중은 68.8%로 전체 현금 이용비중 26.5%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 현금인출을 위해 금융기관 창구를 이용하는 비중도 53.8%로 전체 평균 25.3%에 비해 두 배 가까이 높다. 고령층의 현금 이용, 대면 거래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 점포 축소는 고령층의 불편 가중으로 바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는 대목이다.

http://naver.me/x8gzeP1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