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메뉴

 

 

 

 

 

 

 

 

트렌드뉴스

“90% 백신 접종해도 마스크 없이 살면 연간 10만 명 사망” 日 연구

  • >
  • 포트폴리오 >
  • 트렌드뉴스

본문

일본 연구진이 ‘위드 코로나’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실시한 시뮬레이션 연구에서, 백신을 국민 대부분이 접종하더라도 마스크를 쓰지 않던 예전으로 돌아간다면 일본에서 연간 10만 명 넘는 사망자가 발생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10일 마이니치신문에 따르면 전날 일본 정부는 다음 달부터 음식점 주류 제공 금지, 대규모 행사 관객 수 상한제 등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행동제한 규정을 완화하는 정책을 발표하기 전 전문가 분과회에 의견을 물었다. 이에 대해 분과회 측은 ‘리바운드’(재확산) 가능성이 높다는 우려를 내놓았고, 결국 정부 최종 발표에선 ‘11월에 본격 시행한다’는 부분이 삭제됐다.



분과회에서 우려가 나온 근거 중 하나는 교토대 후루세 유키 교수의 연구 결과였다. 후루세 교수는 일본 정부의 요청을 받아 ‘백신접종률’과 ‘접촉 기회 감소 정도’를 축으로 연간 사망자 수를 추산하는 시뮬레이션을 했다.

"인구 90% 접종 완료해도 2019년 생활로 돌아가면 연 10만 명 사망"



내각 관방 홈페이지에 공개(바로가기)된 보고서를 보면, 연구는 현재 일본에서 유행 중인 ‘델타 변이’를 기준으로 기본 재생산지수 5, 백신의 감염예방 효과를 70%, 중증화·사망 예방 효과를 90%로 가정했다. 이어 접종 완료율이 60세 이상 90%, 40~50 80%, 20~30 75%인 시나리오 1, 세대별 접종률이 각각 85%, 70%, 60%인 시나리오 2, 80%, 60%, 45%인 시나리오 3 등 세 경우를 가정해 사망자 수를 추정했다.



시뮬레이션 결과 시나리오 1~3은 물론이고 전체 인구의 90%가 접종을 완료하는 경우조차 2019년 이전 생활로 돌아갈 경우 연간 10만 명이 넘는 사망자가 나오는 것으로 추정됐다. 그나마 90%가 넘은 경우는 당시보다 20% 정도만 접촉을 줄여도 연간 사망자 수가 인플루엔자(독감) 수준인 1만 명으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실현 가능한 시나리오 1~3의 경우, 가장 접종률이 높은 시나리오 1에서조차 2019년 이전 생활에 비해 40%나 접촉을 줄여야만 사망자 1만 명 수준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나리오 2, 3의 경우 55~65% 정도 줄여야만 이 정도 수준에 도달했다. 접촉률 40% 감소는 코로나19 발생 초기 모두 마스크를 쓰고 재택근무를 권장하는 정도의 수준이고, 50% 이상은 긴급사태 발령으로 음식점 영업시간 제한 등이 이뤄졌을 때를 의미한다. 시나리오 2, 3에서 사망자 수가 거의 없도록 하려면 음식점 주류 제공 제한 등 추가 조치가 들어간 현재처럼 더 강력한 접촉 제한이 있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신접종률 높은 상태에서 접촉 40% 줄이면 '위드 코로나' 가능"



하지만 이는 델타변이 같은 감염력이 높은 변이가 나타났기 때문으로 백신접종률이 90%라면 2019년 이전 생활로 돌아가더라도 사망자 수가 연간 100명 이하로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미국과 유럽 등에서 백신 접종률이 높아진 후 행동 제한을 완화했으나, 델타 변이의 유행으로 다시 강력한 감염 확산이 일어나 마스크 착용 규칙이 부활한 적이 있다.

후루세 교수는 보고서에서 “백신접종률이 높은 시나리오 1로 2020~21년 수준의 생활양식(접촉 40% 감소)을 유지할 수 있다면, 병상 압박을 받을 정도의 의료 부하는 발생하지 않고 ‘위드 코로나’ 같은 사회를 달성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하지만 “시나리오 2, 3의 경우 접촉 기회를 50~60%나 줄여야 연간 1만 명의 사망자 수에 도달하므로 향후에도 감염 확대나 의료 압박 상태를 봐가며 중점 조치와 긴급사태 발령 등을 반복하는 사회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http://n.news.naver.com/mnews/article/469/0000628944?sid=10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