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메뉴

 

 

 

 

 

 

 

 

트렌드뉴스

41년 만에… 이름 찾은 ‘5·18 무명 열사’

  • >
  • 포트폴리오 >
  • 트렌드뉴스

본문

5·18 묘역에 묻혀 있던 무명 열사 1명의 신원이 41년 만에 확인됐다. 5·18진상규명조사위원회는 5·18 무명 열사 묘역에 안치된 5기의 유골 가운데 1기(묘 4-90)의 신원이 신동남(당시 30세)씨로 확인됐다고 15일 밝혔다.

신씨의 비극은 1980년 5월20일 광주역 인근에서 총상을 입으면서 시작된다. 신씨는 복부에 총을 맞아 심각한 부상을 입고 적십자병원으로 이송됐다. 그러나 중상을 입었던 신씨는 다음날 사망했고, 시신은 영안실에 안치돼 있다가 시민수습대책위원회에 의해 전남도청으로 옮겨졌다.

이때 연락이 끊긴 아들을 찾아 나선 이금영씨의 어머니가 신씨의 시신을 아들로 착각하고 장례 절차를 진행했다. 이마에 있는 상처까지 확인하고 자기 아들이라고 확신한 것이다. 신씨는 5월 29일 망월묘역(구묘역)에 안장됐다.

하지만 한 달도 되지 않아 죽은 줄 알았던 이금영씨의 생존 사실이 확인됐다. 앞서 그는 5월 20일 계엄군에게 체포돼 광주교도소 내 수감 중이었다. 운전을 하지 못했던 이씨였지만 트럭으로 계엄군을 치어 죽였다는 누명을 쓴 상황이었고, 자신의 억울함을 풀어줄 증인을 신청하며 살아 있던 게 외부로 알려졌다. 이씨의 어머니는 죽은 줄 알았던 아들을 만났다. 하지만 망월묘역에 안치된 시신은 정작 누구인지 알지 못하게 됐다.

신씨를 포함한 무명열사는 모두 11기였는데 2001년 구묘역에서 현재의 국립 5·18 민주묘지로 이장하면서 뼛조각을 채취, DNA 분석을 통해 6기의 신원을 확인한 바 있다. 지난해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한 조사위도 첫 현장 일정으로 행불자 찾기에 나섰다. 그동안 유전자 검사로 시료가 소진된 3기의 뼛조각을 다시 채취해 DNA를 분석했고, 신씨의 가족과 연관성을 밝혀냈다.


http://n.news.naver.com/article/022/000359095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