퀵메뉴

 

 

 

 

 

 



 

[복사본] 인테리어뉴스

임신 중 운동 피하라? “살부터 빼세요”…임신 전 BMI ‘이 정도’가 안전

  • >
  • 포트폴리오 >
  • [복사본] 인테리어뉴스

본문

임신 중 운동 피하라? “살부터 빼세요”…임신 전 BMI ‘이 정도’가 안전


2GNCv5c.jpeg
https://issuein.top

“비만이 임산부·출생아 건강에 더 위험”
“임신 전부터 BMI 18.5∼22.9 유지해야”



고령 출산 등 ‘고위험 임신’이 증가하는 가운데, 임신 중 비만이 임신성 당뇨보다 임산부와 출생아 건강에 더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7일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은 오수영 삼성서울병원 교수팀의 ‘국내 고위험 산모의 임상적 특성 및 주산기 예후 분석을 통한 고위험 산모 관리모델 개발’ 연구를 바탕으로 이런 결과를 소개했다.

연구진이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토대로 2016∼2020년 국내 한 상급종합병원에서 단태아를 출산한 초임 임산부 3078명을 분석했더니, 비만 임산부의 응급 제왕절개율이 29.6%에 달해 임신성 당뇨 산모(18.7%)보다 높았다.

출생아의 저혈당증 비율(6.0%)이나 중환자실 입원율(14.6%)도 비만 임산부일 때 더 높았다. 임신성 당뇨 임산부의 경우 이 비율은 각각 1.6%, 12.6%였다.


전문가들은 비만으로 인한 임신 중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임신 전부터 체질량지수(BMI)를 18.5∼22.9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임신을 계획하는 경우 체중 감량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전문가들은 특히 ‘임신 중에는 운동을 피하라’는 인식은 잘못된 것이라며 특별한 의학적 사유가 없는 보통 임산부에게는 하루 30분 이상의 중강도 신체활동을 권장했다.

“고령 임신 자체만으로 상당한 고위험”

고령 임신일수록 조산율이 높아진다는 것은 다시 한번 확인됐다.

연구진이 2005∼2019년 초임 임산부 368만여명을 분석한 결과, 25∼39세 산모보다 40세 이상 산모의 조산율이 1.6배 높았다.

출생아의 중환자실 입원율도 40세 이상 산모가 25∼29세 대비 1.5배였다.

44세 이상이면 조산율은 1.9배, 출생아 중환자실 입원율은 1.7배로 더 높아졌다.

고령 임신도 관리만 잘하면 문제가 없다는 인식이 있지만, 고령 임신 자체는 여전히 상당한 고위험 요인임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보건의료연구원은 설명했다.



“제발 오이·고수 빼주세요”…못 먹는 이유 ‘유전자’ 때문이었다
삼성 원태인, 홍준표와 손 맞잡았다…“열심히 노력할 것” 무슨 일?
[오늘의 운세] 2025년 4월 30일
“휴대전화 ‘이 기능’ 껐더니 10년 젊어졌다”…놀라운 효과 있다는데
[오늘의 운세] 2025년 2월 27일
“그냥 관절염인 줄…‘폭싹’ 관식이처럼, 아프면 참지 마세요”
‘폐암 3기’ 판정 후 14년, 매일 6천보 걷는 86세男 “운이 좋았지만…”
술 안 먹는데 생긴 지방간… 확실한 치료법은 식이 조절·운동뿐
비단강 따라 흐른 희생…독립의 씨앗이 자라다
고혈압이라면…“소금 섭취만 줄이지 말고 ‘이 과일’ 더 드세요”






m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