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네비우스 홈페이지
상장폐지 위기까지 몰렸다가 주가가 5배 넘게 급등한 ‘러시아의 네이버’, 네비우스(옛 얀덱스)의 성공 스토리가 주목받고 있다.
5일 나스닥시장에 따르면 지난 4일 네비우스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1.68% 오른 127.98달러에 마감했다. 연초 30달러였던 주가는 올 들어 4배 넘게 올랐다. 거래가 재개된 작년 10월 28일(19.57달러)과 비교하면 6배 넘게 급등했다.
지난달 초 마이크로소프트(MS)와 194억달러(27조원) 규모의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임대 계약을 체결한 것이 주가를 밀어 올리고 있다.
마이너스통장 이자 네비우스는 1997년 얀덱스라는 이름으로 러시아에서 설립됐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지 러시아 검색시장의 60% 이상을 점유한 포털 기업이었다. 포털뿐 아니라 택시, 온라인 쇼핑, 음식배달 등의 영역에서도 독점적 지위를 확보했다.
2011년에는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하며 글로벌 테크 기업의 반열에 올랐다.
위기
저소득층 기준 가 찾아온 것은 2022년이다. 미국 금융당국은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네비우스를 포함한 미국에 상장된 러시아 기업들의 거래를 정지시켰다.
네비우스는 거래 재개를 위해 세상에 어떤 기업도 하지 않았던 ‘승부수’를 던졌다. 매출과 이익의 90% 이상이 나오는 러시아 비즈니스를 모두 매각하는 것이다.
집합명사
사진=EPA
네비우스는 포털, 택시, 쇼핑 등 러시아 사업을 작년 6월 54억달러(약 7조5000억원)에 매각했고, ‘러시아 꼬리표’가 사라지면서 작년 10월 나스닥에서 거래가 재개됐다. 네비우스가 사명을 얀덱스에서 ‘네비우스’로 바꾼 것도 사업 매
골든브릿지자산운용 각 직후인 작년 7월이다.
이렇게 조달한 돈으로 네비우스는 엔비디아의 AI서버를 대량으로 사들였다. 올 1분기에는 미국 미주리, 지난 3월에는 뉴저지에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짓기 시작했다.
자체 AI데이터센터 건설에 주력해온 빅테크 기업들은 건설 속도가 AI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자 네비우스 같은 데이터센터 임대 기업으로 눈
24시간인터넷대출 을 돌리기 시작했다. 네비우스는 MS와의 계약에 따라 뉴저지 데이터센터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에 컴퓨팅 자원을 제공하게 된다.
네비우스는 MS 외에도 스포티파이, 쇼피파이, 클라우드플레어 등 초대형 고객을 다수 확보하고 있다. 네비우스의 시가총액은 321억달러(약 45조원)로 거래 정지 직전(약 9조원) 대비 5배 넘게 올랐다. 결과적으로 전쟁은 네비우스가 사세를 확장하는 절호의 기회가 됐다.
박의명 기자 uimy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