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클립아트코리아
엄마가 섭취한 미세플라스틱이 모유를 통해 아이에게 전달돼 아이의 면역체계를 교란한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바이오신약중개연구센터 이다용 연구원팀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사용되는 폴리에틸렌(PE) 미세플라스틱을 임신한 생쥐에 섭취시킨 뒤, 태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봤다.
연구 결과, 미세플라스틱은 모유를 통해 새끼 체내로 이동했으며 비장에 다량 축적됐다. 비장은 몸속 면역세포를 조절하는 기관으로, 이곳의 균형이 무너지면 감염병에 쉽게 걸린다. 실제 미세플라스틱에 노출된 새끼 생쥐에서 면역을
신분증 사본 담당하는 T세포와 NK세포(자연살해세포)가 줄어들고,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B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늘어나는 등 면역체계의 균형이 무너진 모습이 확인됐다. 이와 함께 새끼 생쥐의 성장기 동안 항바이러스 면역 물질인 인터페론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가 저하된 모습이 지속해서 나타났다. 이는 면역 저하가 일시적인 반응이 아니라, 면역 발달 과정 전반을 교란해 바
한국은행 기준금리 이러스에 대한 감염 저항성을 떨어뜨릴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실제 연구팀은 생쥐에게 H1N1 신종플루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결과, 정상군에 비해 감염 후 체중이 급격히 감소하고, 항바이러스 면역물질 분비가 현저히 낮게 나타나 바이러스 억제 능력이 크게 약화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 저자 이다용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은행연합회 신용정보조회 미세플라스틱이 세대를 넘어 면역체계를 교란할 수 있음을 과학적으로 입증한 첫 사례다”며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음식과 물 등 생활 속 미세플라스틱 노출을 최소화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현재로써는 미세플라스틱 섭취를 최소화하는 게 최선의 방책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미세플라스틱 섭취 경로는 사람마다 다르지만 음식
전업주부대출조건 보다는 플라스틱 용기를 통해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 연구에 따르면 플라스틱 용기에 담긴 물만 마시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연간 약 9만 개의 미세플라스틱을 더 먹는다. 일회용 플라스틱 컵 사용을 줄이고 이 외에 티백이나, 종이컵 등도 사용을 자제하는 게 좋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유해물질저널(Jour
휴직자대출 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최근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