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화력발전 붕괴 사고 중앙사고수습본부 공동 본부장인 김영훈(가운데) 고용노동부 장관이 15일 오전 사고 현장 앞에서 브리핑하고 있다. 지난 6일 발생한 붕괴 사고 매몰자 7명은 모두 주검으로 수습됐다. 연합뉴스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현장에서 9일간 이어진 구조·수색이 종료됐다. 무너진 구조물에 매몰된 7명은 모두 싸늘한 주검으로 돌아왔다. 고용노동부는 발주처를 포함한 철저한 수사와 재발방지 대책을 약속했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중앙사고수습본부 공동본부장)은 15일 오전 울산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
바다이야기프로그램다운로드 화력발전소 뒷문 앞에서 중앙긴급구조통제단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신속하고 엄정한 수사를 통해 사고 발생의 구조적 원인을 철저히 규명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현장 브리핑은 전날 밤 마지막 실종자의 주검을 수습한 뒤 구조활동을 마무리하면서 마련됐다.
김 장관은 “이번 사고로 유명을 달리하신 노동자들의 명복을 빌며, 유가족분
골드몽게임 들에게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또한 상처를 입으신 노동자분들의 쾌유를 빈다”며 “피해 노동자와 가족분들이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관계기관과 함께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 김 장관은 “노후화된 화력발전소 폐쇄 등 정의로운 전환 과정에는 수많은 과제와 위험이 뒤따른다”며 “다시는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관련 부처가 함께
야마토게임다운로드 종합적인 방안을 조속히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발주처에 대한 처벌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철저히 수사하고, 발주처 책임을 강화하는 방법을 제도적으로 수립하겠다”고 강조했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사고
오션파라다이스예시 8일째인 지난 13일 마지막 남은 매몰자 1명을 찾기 위해 동원된 중장비가 무너진 보일러 타워 구조물을 해체하고 잔해를 옮기고 있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이번 사고는 지난 6일 오후 2시2분께 울산 남구 한국동서발전 울산화력본부에서 보일러 타워 5호기가 무너지면서 발생했다. 44년 전 지은 가로 2
야마토게임다운로드 5m, 세로 15.5m, 높이 63m의 보일러 타워의 높이 25m 지점에서 발파 해체 전 목표한 방향으로 무너질 수 있도록 철골 구조물 등을 미리 자르는 ‘사전 취약화 작업’을 하던 7명이 매몰돼 모두 숨졌다.
소방당국은 사고 당일 1시간 여만에 무너진 구조물 아래서 생존 상태의 김아무개(44)씨를 발견하면서, 한때 생환의 희망도 있었다. 하지만 에이치(H)빔과 철골 등이 미로처럼 얽힌 잔해에 신체 일부가 낀 채 발견된 김씨에 대한 구조작업은 쉽지 않았다. 양옆에 무너진 타워(5호기)와 똑같은 타워 2기(4·6호기)의 추가 붕괴 위험 탓에 중장비를 쓸 수 없어 구조대원들이 직접 철근을 자르고 바닥을 파내며 진입했다. 하지만 끝내 김씨는 이튿날 새벽 사망 판정을 받았다.
소방당국은 사고 이틀째인 지난 7일 2명, 나흘째인 지난 11일 1명의 매몰자의 주검을 각각 수습했다.
4·6호기의 추가 붕괴 위험 때문에 수색은 좀처럼 속도를 내지 못했고, 중수본은 매몰자 가족과 협의를 거쳐 이들 타워를 발파 해체한 뒤 수습을 이어가기로 했다. 사고 발생 엿새째인 지난 11일 낮 12시 발파 해체한 이후 소방당국은 민간 전문가와 함께 구조에 나섰고, 사고 8일 만인 지난 14일 밤 9시57분께 마지막 실종자까지 4명의 주검을 차례로 수습했다. 사고 발생 약 200시간 만이다.
사고 이후 9일 동안 소방당국은 모두 인력 3295명, 장비 905대를 투입했다.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사고 9일째인 지난 14일 사고 현장에서 구조대원들이 마지막 매몰자를 찾기 위해 무너진 철골 사이 공간을 살펴보고 있다. 울산소방본부 제공
김승룡 중앙긴급구조통제단장은 “유가족분들께 날마다 세차례씩 구조 진행 상황과 앞으로 계획을 직접 설명드리며 무거운 마음을 함께 나누고자 했다”며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의 명목을 빌며, 유가족 여러분께 진심으로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말했다.
또 “현장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소방대원들의 심리 안정을 지원했고, 이후로도 지원을 계속한다”고 했다. 이어 일부 누리꾼들이 현장에 투입된 구조대원들을 향한 도 넘는 비난을 쏟아내고 있는 상황에 대해 김 단장은 “혹여 부족한 점이 있을 수 있더라도 현장에 투입된 대원들에 대한 비난을 자제해달라”고 호소했다.
주성미 기자 smoody@hani.co.kr 기자 admin@119sh.info